이전에 설치한 Kong을 설치한 것에 이어서 Kong web UI 중 하나인 Konga를 설치하려고 합니다. 만약 Konga에 대해 더욱 자세히 확인하고 싶다면 KONGA github 링크에 들어가서 참고해보세요.
- 설치 시 사용하는 .bly URL은 빠르게 설치하기 위해 저의 Github 코드를 변환시켜서 이용하는 것입니다.
가상환경 스펙
- Red Hat Enterprise Linux8
- 스펙: 8 core/15Gi Ram
설치 버전
- Minikube : 1.22.3 (21.12.16 기준 최신 버전)
- Kong : 2.5 (21.12.16 기준 최신 버전)
- Postgres : 9.5
- Pantsel/konga: Latest
설치 순서
1. kong-admin 생성
2. Konga service 및 deployment 생성
3. Konga 접속하기
1. Kong-admin 생성
Konga는 kong-admin을 이용해서 연결되기 때문에 kong-admin service를 생성해줍니다. kong-admin을 설치하면 나중에 api를 보낼 때 Kong 리소스를 설치할 때 yml파일을 생성하지 않고도 생성할 수 있습니다.
1. Kong-admin설치
1
|
kubectl apply -f https://bit.ly/k8s-kong-admin
|
2. kong-admin 설치 확인
[CLUSTER_IP:PORT]는 나중에 Konga에서 Kong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URL (예시: 10.105.35.29:8001)
2. Konga service 와 deployment 생성
1. Konga-service와 deployment 설치
1
|
kubectl create -f https://bit.ly/k8s-konga
|
2. Konga-service와 deployment 설치 확인
설치된 replicaset, deployment, service, pod 확인
2. Konga 접속하기
1. Konga URL 찾기
1
2
|
export KONGA_ADDR=$(minikube service -n kong konga-svc --url | head -1)
echo $KONGA_ADDR
|
출력문이 Konga 서비스 접근 URL입니다.
2. Konga 설정하기
- `echo $KONGA_ADDR`을 이용해서 얻은 URL로 접근하면 해당 화면이 나옵니다. (Konga 버전에 따라서 약간 화면이 다르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.)
- 해당 부분에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. ([CLUSTER_IP:PORT]는 Kong-admin을 생성할 때 확인했던 정보입니다.)
- Name: Kong
- Kong-Admin URL: http://[CLUSTER_IP:PORT]
- `DASHBOARD`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연결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!! 만약 해당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면 `CONNECTIONS`에 들어가서 `ACTIVATE`버튼을 눌러서 연결되도록 해주세요.
이렇게 konga gatewqy 설치를 완료했습니다.
다음에는 ELK 설치하고 라우팅 테스트하는 것을 보여드리겠습니다.
'Project > 인턴_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 - Elasticsearch, Kibana, Logstash 설치하기 (Minikube, ELK) (0) | 2022.05.15 |
---|---|
2. Kong API gateway 설치하기 (Kubernetes, Minikube) (0) | 2021.12.16 |
1. Minikube 설치하기(RHEL/Centos) (0) | 2021.12.15 |
0 - 인턴을 하면서 진행한 활동 정리 (0) | 2021.11.09 |